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Deepseek vs OpenAI
    2024년12월 이후 이슈 2025. 1. 27. 23:58
    반응형
    딥시크vs오픈AI
    딥시크vs오픈AI

     
    딥시크는 오픈AI와 구글을 비롯한 미국 실리콘밸리 회사와 비교해 첨단 반도체를 덜 사용 하고도 더 강력한 서비스를 만들어내서 반도체 수출 규제 한계를 보여줬습니다.
     
    딥시크의 AI 모델 개발 비용은 약 600만 달러 이하로, 이는 오픈AI, 구글, 메타 등 글로벌 AI 기업들의 모델 개발 비용(수억 달러) 대비 매우 저렴한 수준입니다. (경쟁사 대비 1/10 정도의 예산)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엔비디아의 칩을 써야만 경쟁사 대비 우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라고 말한 바 있는데, 딥시크는 경쟁서비스 대비 훨씬 떨어지는 칩으로, 심지어 칩을 덜 쓰고도 더 강력한 서비스를 내놓았습니다.
     

    1. 엔비디아 우려담긴 주가 하락

     
    딥시크의 등장은 지금의 AI 투자가 과잉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앞으로의 전망은 좀 더 효율적으로 경제적으로 AI를 구축하는 쪽으로 넘어갈 것입니다. 중국 특유의 인건비 경쟁력도 확인되었는데, 중국 AI분야 신입사원이 금융분야를 제치고 신입사원 월급1위 자리에 올랐다고 합니다. 중국 AI분야 신입사원의 평균 월급은 1만3594위안(269만원)으로 부르는게 값인 미국 엔지니어들과는 분위기가 다릅니다.
     

    2. AI투자 열풍 그럼 끝인가?

     
    트럼프 주도의 백악관이 '딥시크'의 성능이 좋다는걸 확인했을 때, 과연 어떤 판단을 할 것인가가 제일 중요한 사안이 되겠습니다. 트럼프가 최근 '스타게이트' 사업을 추진한 것으로 볼 때, AI투자 열풍이 끝나기 보다는 반도체 관련 규제가 더 촘촘해지고, 투자 활성화가 더 가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AI는 이제 체제간 경쟁

     
    과거 미국과 소련은 우주 지배를 위한 우주 경쟁을 치열하게 했습니다. 양국은 달탐사를 목표로 삼았죠. 이 경쟁으로 관련사업이 발전했는데, 지금은 미국과 중국이 이렇게 할 수있습니다. 
     

    4. 얀 르쿤 "오픈소스가 독점모델을 추월하고 있다."

     
    딥시크는 오픈소스이고, Open AI는 폐쇄형입니다. 딥시크는 메타를 비롯한 많은 작업들의 위에서 구축을 했고,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모두가 이를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결국, 얀 르쿤은 미국과 중국간의 경쟁이 아닌 딥시크와 OpenAI간의 경쟁이며, "집단지성이 발휘되는 오픈소스 모델이 폐쇄형 모델을 이긴다."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5. Open AI는 Closed AI이다.

     
    Open AI는 초기에는 "인공지능의 이점을 인류 전체와 공유하겠다"는 목표로 오픈 소스(Open Source) 철학을 추구했지만, 현재는 점점 더 폐쇄형(Closed) 정책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오픈AI의 폐쇄형 전환 이유는 무엇일까요?
     
    1) 상업적 이익 우선
     
    - GPT-3부터 최신 모델인 GPT-4에 이르기까지, 오픈AI는 연구 결과 및 모델을 공개하지 않고, API 기반의 유료 서비스로 제공하며 기업 수익 창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의 긴밀한 협력(100억 달러 투자)으로 인해 기술 보호 필요성이 증가했습니다.
     
    2) 경쟁 심화와 기술 보호
     
    - 구글(DeepMind), 메타(Meta), 중국의 바이두 등과 AI 패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기술 유출 방지 및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내부 연구 결과를 비공개로 유지했습니다.
     
    - GPT-4의 구체적인 모델 구조, 매개변수 수, 학습 데이터 세트 등에 대한 정보는 비공개입니다.
     
    3) 책임 및 규제 문제
     
    - 초거대 언어 모델이 잘못된 정보, 편향성, 악용 가능성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오픈AI는 모델의 남용을 막기 위해 접근을 제한하고 책임 있는 AI 사용을 강조합니다.
     
    - 미국 및 글로벌 규제 환경의 변화로 인해 AI 기술 공개가 신중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4) 윤리적 고려
     
    - 모델의 남용(예: 허위 정보 생성, 자동화된 사이버 공격)에 대한 우려로 인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에게만 제한적으로 접근 권한을 제공합니다.
     
    폐쇄형(Closed) 정책은 강력한 상업화 모델 확립, 신뢰성 유지, 악용 방지가 가능하지만,  오픈 소스 커뮤니티와의 단절로 인해 AI 혁신 속도가 떨어지고 연구자 및 스타트업의 접근 기회가 제한됩니다.
     

    6. 내 생각

     
    백악관을 주도하는 트럼프의 행정명령이 어떻게 나올지가 중요할 것 같고, 당장 AI 시장이 버블이라고 판단하기에는 이른감이 있다. 지금까지 엔비디아의 칩이 경쟁사와의 서비스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했기에 엔비디아의 칩을 사용하지 않고도 비슷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딥시크에 시장은 큰 충격을 받았지만 미국 내에서도 엔비디아 칩에 의존하지 않기 위해서 자체 AI칩을 개발하는 기업들이 많다. AI에 큰 투자비용을 들였던 미국과는 달리 적은 예산으로도 딥시크를 개발한 중국으로 인해 AI 시장이 버블이라 생각들 수 있지만, 좀 더 지켜 볼 필요가 있다. 애초에 오픈AI와 딥시크의 정책이 다르니.. 미국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지가 중요하다.

     

    7. 참고링크

    https://youtu.be/0NZ-EZBAaDA?si=WHjVZf2rvt155Jh5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