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딥시크 쇼크2024년12월 이후 이슈 2025. 1. 29. 16:10반응형
딥시크 쇼크 1.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1) 2023년 5월, 헤지펀드 창립자 량원펑이 중국 항저우에 AI 스타트업 '딥시크' 설립.
2) 지난해 12월 V3을 공개한데 이어 지난 20일 추론 특화 AI모델 R1 출시
3) 빅테크 기업보다 훨씬 적은 돈으로 해당 모델들을 만든 것으로 알려져 AI시장 충격
2. 딥시크 R1
1) 생산비용 : 558만 달러(약 78억8000만원) -> 메타의 라마3 생산 비용의 10/1 수준
2) 엔비디아의 저가형 AI 칩 'H800'을 시간당 2달러에 2달간 빌려 개발
->메타는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반도체 칩 'H100'을 대거 사용
3) 일부 성능 테스트 :
- 미국 수학경시대회인 AIME 2024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79.8%의 정확도 기록(오픈AI o1은 79.2%)
- 500개 수학 문제 테스트에서 97.3%로 우수한 성적 기록
- 코딩과 영어 언어 부문에서 o1, 메타의 라마3.1보다 나은 성능 기록
3. 뉴욕증시, 엔비디아를 비롯한 반도체 관련주들 폭락
1) 엔비디아 주가, 전거래일보다 16.9% 폭락한 118.42달러
2) 고사양 반도체들에 대한 수요가 줄 수 있다는 우려
3) 기술개발을 주도해 온 미국 AI기업들의 고비용 구조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는 상황
4) '저비용 고성능'모델이 미·중간 AI패권 경쟁 격화 전망4. 링크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35536
중국 AI의 공습…美 덮친 딥시크 쇼크
美 10분의1 비용으로 오픈AI 수준 AI 개발 수요감소 우려 엔비디아 시총 850조원 증발 ◆ 딥시크 쇼크 ◆ 2023년 설립된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지난 20일 내놓은 A
n.news.naver.com
5. 키워드
- 대규모 무료 언어모델(LLM) : 수많은 파라미터(보통 수십억 웨이트 이상)를 보유한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되는 언어 모델. 자기 지도 학습이나 반자기지도학습을 사용하여 레이블링되지 않은 상당한 양의 텍스트로 훈련되어짐.
- 미국 수학경시대회 AIME : AMC10 과 AMC12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학생들만 응시할 수 있는 초청형 경시대회
6. 내 생각
AI 개발에 고비용을 들였던 미국에 비해 저비용으로도 미국과 비슷한 성능을 내는 중국의 AI모델 출시에 시장은 꽤나 충격을 먹었을 것이다. 하지만 전에 틱톡도 그렇고 미국이 딥시크에 대해서 어떠한 행정명령을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시장의 충격은 일시적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엔비디아 주가가 16.9% 하락했다고 기사에 적혀있지만 오늘 엔비디아 주가가 다시 반 정도 회복했다고 한다. 이러한 분위기를 보면 아직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AI시장이 진짜 버블이었던건지, 아니면 중국 딥시크가 오픈소스여서 저비용으로도 가능했던건지, 이러한 논란이 커짐으로써 AI 시장은 더 커질것같다.
반응형'2024년12월 이후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데이터센터 수혜주 (0) 2025.01.30 GE 버노바(GE Vernova) (1) 2025.01.30 Deepseek vs OpenAI (0) 2025.01.27 CXMT의 DDR5와 국내 D램 공정 비교 (0) 2025.01.27 트럼프, 716조원짜리 '초대형 AI 프로젝트' (0) 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