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
알리바바와 중국 내수 경제의 관계2024년12월 이후 이슈 2025. 3. 23. 21:25
1. 알리바바와 중국 내수 경제의 관계 알리바바는 중국 최대의 전자상거래 기업으로, 중국의 내수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전자상거래, 핀테크, 클라우드 컴퓨팅, 물류 등 다양한 사업 분야를 운영하며 중국 소비자와 기업의 경제 활동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2. 알리바바의 주요 사업과 내수 경제 기여 2.1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소비 촉진 알리바바의 핵심 사업인 타오바오(Taobao)와 티몰(Tmall)은 중국 내수 경제 활성화의 중심에 있습니다. 이들 플랫폼은 중국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고, 소상공인과 대기업이 온라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특히, 광군제(光棍节, 11.11 쇼핑 페스티벌)는 전자상거래를 통한 내수 경제 활성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매년 수천억 위안 규모의 ..
-
Deepseek vs OpenAI2024년12월 이후 이슈 2025. 1. 27. 23:58
딥시크는 오픈AI와 구글을 비롯한 미국 실리콘밸리 회사와 비교해 첨단 반도체를 덜 사용 하고도 더 강력한 서비스를 만들어내서 반도체 수출 규제 한계를 보여줬습니다. 딥시크의 AI 모델 개발 비용은 약 600만 달러 이하로, 이는 오픈AI, 구글, 메타 등 글로벌 AI 기업들의 모델 개발 비용(수억 달러) 대비 매우 저렴한 수준입니다. (경쟁사 대비 1/10 정도의 예산)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엔비디아의 칩을 써야만 경쟁사 대비 우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라고 말한 바 있는데, 딥시크는 경쟁서비스 대비 훨씬 떨어지는 칩으로, 심지어 칩을 덜 쓰고도 더 강력한 서비스를 내놓았습니다. 1. 엔비디아 우려담긴 주가 하락 딥시크의 등장은 지금의 AI 투자가 과잉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앞으로..
-
CXMT의 DDR5와 국내 D램 공정 비교2024년12월 이후 이슈 2025. 1. 27. 21:37
CXMT(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의 32GB DDR5 D램 모듈은 최신 16나노미터(nm) 공정(G4)을 기반으로 제작된 고성능 메모리 제품입니다. 이 모듈은 16Gb DDR5 D램 칩 16개를 사용하여 32GB의 용량을 구현하며, DDR5의 높은 대역폭과 전력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1. 특징 및 사양 1) 제조 공정 - 16nm G4 공정 적용 -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10nm 3세대(1z)와 유사한 수준 2) 성능 - DDR5의 특성상 DDR4 대비 약 2배 빠른 속도 - 향상된 전력 효율성으로 저전력 동작 -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적합 3) 수율 - 약 80%의 양산 수율 달성 4) 시장 출시 - 중국 내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판매 -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 검토 중 ..
-
트럼프의 관세협박이 먹히는 이유+연준의 기준금리2024년12월 이후 이슈 2025. 1. 20. 23:57
1. 이제 시장의 관심은 트럼프 취임 이후 펼쳐질 정책 트럼프 "나는 기다릴 시간이 없다"이민정책, 동맹국가와 적국가간의 관계 재설정을 위한 정책을 펼침에 있어서 상원을 기다리지 않겠다.이미 100여개의 행정명령을 준비해놓았다. 2. 트럼프의 관세협박이 먹히는 이유 경제학은 규제를 싫어합니다. 가격결정권이 없는 우리같은 작은나라가 관세를 부과할 때는 사회적 후생의 총합 마이너스.가격결정권이 있는 대국이 관세를 부과할 때는 경우에 따라서 사회적 후생의 총합 플러스. 관세부과전 국제가격이 Po였는데, 대국이 관세를 부과하면 소비 시장이 큰 대국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 가격이 P2로 내려감. 관세는 떨어진 가격에 비례해서 올라감. 국내가격이 P3로 결정됨. E가 B+D합친것보다 크면 대국이 얻는..
-
물가 상승 요인2024년12월 이후 이슈 2025. 1. 16. 22:49
1. 증시와 채권 모처럼 같이 웃은 하루 -15일(수) 미국 증시 : 3대 지수 급등 마감(DOW+1.7%, S&P500 +1.8%, NASDAQ +2.5%) - 장기물 금리 급락(4.8%->4.6%중반), 채권값 급등 2. 장기물 금리 내려온 이유 - 시장이 우려하던 가장 큰 CPI 고비를 넘었다. 시장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물가 상승의 고착화를 가장 두려워했다. 이번 헤드라인 CPI 상승은 최근 오른 유가탓으로 돌려버리고, 장기적 측면에서 물가상승이 지속되지 않을 수 있는 이유를 코어 CPI 조정에서 찾았다. - 엇갈린 스플릿 데이터(헤드라인 CPI상승, 코어 CPI 소폭 하락)에도 시장 환호 이유 : 최근 온갖 악재란 악재는 다 선반영해서 금리를 많이 올려놓은 상황이기 때문에 악재에는 둔감하고 호재에..
-
트럼프 관세 진짜 계획은?2024년12월 이후 이슈 2025. 1. 15. 23:59
1. PPI(생산자물가지수) 예상보다 괜찮았다- 전월 대비 0.2% 상승 (전문가들의 예측 전월 0.4%, 예상치 0.4% 상승을 모두 하회)- 1년 기준으로는 3.3% 상승(전망치 3.5% 하회) - 전망치보다 낮은거지 수치 자체가 낮은 것은 아님2. 점진적 관세 부과 블룸버그 보도- 트럼프 경제팀이 관세 세율을 매월 2%~4%씩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해- 다만 이 제안은 초기단계이며 트럼프에게 보고된 내용은 아니라고 함께 전함(지난번 워싱턴포스트 사례 때문인듯?) - 워싱턴포스트의 보도를 놓고 트럼프는 "가짜뉴스다"라며 반박했다 - 트럼프의 관세는 최종목표가 아닌 최종목표를 위한 수단 3. 중국 주식이 반등했다. - 중국 증시가 트럼프 관세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