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철강관세 영향 받는 국내 주식
    2024년12월 이후 이슈 2025. 2. 11. 22:41
    반응형

    현대제철 주가
    현대제철 주가
    포스코 주가
    포스코 주가

     

    1. 트럼프 "3월12일부터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

     

    트럼프가 현재 관세정책 강행 시, 현재 무관세인 한국과 유럽연합(EU) 철강 제품에 25% 관세가 붙습니다.

    중국, 인도, 러시아 등 25% 관세를 내는 나라는 50%로 관세율이 올라가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트럼프 1기때, '무역확장법232조'로 관세를 면제 받는 대신 수출 물량을 263만t으로 제한하는 쿼터제를 받아들였었는데요. 25% 관세를 물게되면 우리나라 철강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2. 25% 관세 부과가 한국 철강 업계에 미치는 영향

     

    1) 미국 수출 감소 및 시장 축소

     

    - 미국은 한국 철강업체의 주요 수출 시장 중 하나였으나, 25% 관세 부과로 경쟁력이 약화됨

     

    - 특히 현대제철, 포스코 등은 미국향 수출이 감소하며 생산량 조정 및 수익성 악화

     

    2) 국내 철강업체의 가격 경쟁력 악화

     

    - 25%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 내 한국 철강의 가격이 상승하여 현지 경쟁력이 급격히 낮아짐

     

    - 한국 철강업체들은 미국 내 고객사(자동차, 건설업체 등)를 잃을 위험이 커짐

     

    - 이에 따라 일부 업체는 미국 수출 대신 동남아 및 유럽 시장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으나, 대체 시장 개척이 쉽지 않음

     

    3) 생산 조정 및 수익성 악화

     

    - 미국 수출이 어려워지면서 국내 철강업체들은 생산량을 조정하거나, 대체 시장을 찾아야 함

     

    - 철강 제품은 일반적으로 대체 시장을 찾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 단기적으로 수익성 악화

     

    3. 현대차에 미치는 영향

     

    1) 차량 원가 상승

     

    - 자동차 제조에는 강판, 특수강 등 다양한 철강 제품이 사용됨

     

    - 철강업체의 생산 비용 증가와 철강 가격 상승은 현대차의 원가 부담을 높일 수 있음

     

    2) 공급망 불안정

     

    - 철강업체의 생산 차질이 발생할 경우, 자동차용 강판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음

     

    - 이는 차량 생산 일정 지연으로 이어져 소비자 인도 지연과 판매 감소로 연결될 위험이 있음

     

    4. 삼성전자에 미치는 영향

     

    1) 반도체 및 가전제품 원가 상승

     

    - 철강은 스마트폰, TV, 냉장고, 세탁기, 반도체 제조 장비 등에 폭넓게 사용됨

     

    - 철강 가격이 상승하면 가전 및 반도체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음

     

    - 이는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삼성전자의 가격 경쟁력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있음

     

    2) 생산 설비 투자 부담 증가

     

    - 반도체 공장(Fab) 및 가전 공장의 구조물, 장비 등에 철강이 많이 사용됨

     

    - 삼성전자가 반도체 팹을 증설하거나 가전 공장을 확장할 때 철강 가격 상승은 투자 비용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음

     

    5. 한국 철강업계의 극복 방안

     

    1) 수출 다변화 및 신시장 개척

     

    - 미국 및 EU 등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시장 의존도를 줄이고,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을 개척해야 함

     

    - FTA(자유무역협정) 체결국과의 무역을 강화하여 관세 부담이 적은 국가로의 수출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2)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 자동차 강판, 고급 건설용 철강, 친환경 철강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여 가격 경쟁력보다 품질 경쟁력으로 승부해야 함

     

    - 친환경 철강(그린 스틸) 기술을 개발하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규제를 강화하는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해야 함

     

    3) 원가 절감 및 생산 효율성 증대

     

    - AI 및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여 원가 절감을 추진해야함

     

    - 철광석, 석탄 등 원자재 조달선을 다변화하여 원가 상승 리스크를 줄여야 함

     

    4) 현지 생산 확대 및 해외 합작법인 설립

     

    - 미국, 유럽 등 주요 수출국에 현지 공장을 설립하거나, 현지 기업과 합작법인을 세워 관세 부담 없이 제품을 공급하는 전략 필요

     

    - 글로벌 철강업체와 협력하여 기술 및 생산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도 고려

     

     

     

    반응형

    '2024년12월 이후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핏이 투자한 Constellation Brands  (0) 2025.02.18
    유럽 증시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0) 2025.02.14
    엔비디아 주가 전망  (0) 2025.02.11
    금값 역대 최고  (0) 2025.02.04
    커피가격 왜 오르지?  (0) 2025.02.04
Designed by Tistory.